slick 반응형에서 제거하기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add' of null” 오류 해결

tip
블로그 이미지

이챙(leechaeng)

﹒2020. 12. 1.

나의 job에서는 slick 사용한다.. 

 

하하 

반응형 작업할때 

pc에서는 slick 이 반응하고 모바일에서는 제거되게끔 하는 소스를 

구글 검색하다 알아내서 

내가 쓸려고 올리는 포스팅 ~~~

 

 

1 .

var slider = $('.slider');  	
var slickOptions = { 		
    infinite: true, 		
   slidesToShow: 1, 		
   slidesToScroll: 1, 		
   dots:true, 		
   arrows:true 	
  };  	
$(window).on('load resize', function() { 		
    if($(window).width() < 767) { 			
        slider.slick('unslick'); 		
    }else{ 			
        slider.not('.slick-initialized').slick(slickOptions); 		
    } 
});

 

slick으로 반응형 작업하다가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add' of null” 오류 나는게

slick 을 여러번 불러와서 나는거라 .not('.slick-initialized')를 해주면 오류가 안난다,

 

위의 코드가 slick 옵션을 변수에 담고

resize 할때마다 옵션을 불러와주는 방법이다.

 

 

 

 

 

2 .

var slider = $('.slider');     
var timer;    

 $(window).on('load resize',function(){         
    clearTimeout( timer );          
    timer = setTimeout( sliderResponsive(), 100 ); 
})       
function sliderResponsive(){         
    if($(window).width() < 767){             
        slider.filter('.slick-initialized').slick('unslick');         
    }else{             
        slider.not('.slick-initialized').slick({                
            arrows: true,                
            slidesToShow: 1,                 
            slidesToScroll: 1            
        });                         
    }       
}

 

위의 코드는 옵션까지 if문안에 넣어서 

리사이징 할때마다 함수로 불러와주는 방법인데

unslick 할때도 오류가 나서 .slick-initialized 를 unslick 해주는 방법으로 적용했다.

 

작업하다가 오류도 나고해서

구글링 하다가 위의 두가지 방법을 발견했다,

사실 둘다 비슷비슷해서,,하하

옵션넣어서 불러와주는 첫번째코드가 깔끔한거 같다.

 

 

이챙(leechaeng)
이챙(leechaeng)

프론트엔드 개발도 하고 뛰기도 하고

'tip' 카테고리의 관련 글